점점 더 고령화시대가 되어가면서 이제는 다방면의 노후 대비는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고, 그 중에서도 주택을 활용한 연금 제도는 미리 한번 꼭 체크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연금의 가입조건과 수령액 등에 대한 내용을 최대한 쉽게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주택연금 가입 조건
주택연금은 일정 조건과 자격을 갖춘 사람이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구분 | 내용 |
가입 연령 | 부부 중 1명 만 55세 이상 시 가능 |
소유 주택 | 공시가격 12억원 이하(시세 약 17억) 부부 소유 주택 합산 |
주택 형태 | 단독 주택, 공동 주택, 노인복지주택, 오피스텔(일부) |
거주 조건 | 본인 또는 배우자가 해당 주택에 거주 |
제외 및 제한 | 타 연금 수급자 제외 과도한 대출 시 제한 감정평가 결과 반 |
단, 부부 공동명의인 경우 두분 모두 만 55세 이상이 되어야 하며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등 타 연금 수급자는 원칙적으로 제외되므로 꼭 한번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해보기
주택연금 수령액은 가입자의 연령과 주택의 평가액에 따라 달라지며 대표적인 수령액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택 평가액 | 만 60세 월 지급액 | 만 70세 월 지급액 |
3억원 | 약 86만원 | 약 122만원 |
5억원 | 약 143만원 | 약 202만원 |
7억원 | 약 200만원 | 약 281만원 |
좀 더 정확한 수령액을 예측해 보는 것을 원하신다면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 접속 후 '예상연금조회' 메뉴를 이용하여 확인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생년월일, 주택종류, 공시가격, 수령방식( 정액형, 초기증액형, 정기 증가형 ) 등을 입력하시면 자동 계산된 월지급금이 표시됩니다.
* 정액형 : 일정금액을 계속 받는 방식, 초기증액형 : 가입 초기 70~80% 수준을 높게 받는 방식, 정기증가형 : 매년 일정 비율로 오르는 정기증가형
▌ 주택연금은 누구에게 적합할까?
1. 정기적인 소득이 부족한 은퇴자 분들
2.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나, 현금 자산이 부족하신 분들
3. 부동산을 처분할 계획 없이 평생 거주하실 분들
4. 연금 외 추가적인 노후자금 계획이 필요하신 분들
특히, 점점 줄어드는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생화이 힘들 수 있기 때문에 노후 계획 시 주택연금은 안정적인 대안 중 한가지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주택연금 신청절차?
주택연금 신청은 공사 지사나 은행(위탁 취급기관)을 방문 해 상담을 거친 뒤 관련서류(등기부등본,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배우자 관계증명서 등)을 제출하시면 됩니다.
주택금융공사(HF)는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상담이 가능하고, 대부분의 절차는 온라인에서도 가능하오니 상담을 통해 상황에 맞는 연금상품을 선택해 보시기 바랍니다.
<신청절차>
1. 주택금융공사 사전 상담
2. 서류 제출(등기부등본,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배우자 관계증명서 등)
3. 주택 감정 평가
4. 계약 체결
5. 연금 지급 개시
▌ 주택연금 고려해볼 점!
주택연금은 노후생활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입 전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이 있으니 꼭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고려할 사항 | 내용 |
주택 처분 불가 | 연금을 받는 동안은 주택 매도 불가 |
연금 수령액 한정 | 주택 평가액에 따라 수령액 결정 |
상속 문제 | 상속인에게 주택이 자동으로 넘어가지 않음 |
조기 해지 불이익 | 중도 해지 시 일부 손해 (위약금 등) |
▌ 결론
2025년 주택연금 공시가격 12억원 이하라는 대폭 완화된 가입요건과 안정적인 월지급금 구조 덕분에 확실히 노후 소득 확보의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따라서 노후가 오시기 전에 가입조건과 지급금을 미리 확인해 보시고 본인의 재정상황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노후계획을 세워보시는 것은 어떨까 싶습니다.
'★ 돈이 되는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 무상 증여한도는 얼마나 될까 ? : 증여세 과세표준, 특례혜택(feat.결혼자녀), 미성년자 등! (0) | 2025.03.06 |
---|---|
국민연금 실업크레딧 챙기세요! : 대상, 보험료 계산, 납부/신청방법 등 (0) | 2025.03.03 |
임금피크제 뜻, 퇴직금 영향, 장단점, 폐지가능성? 알아보기! (0) | 2025.03.03 |
2025 국민연금 꼭 미리 챙겨봐야 하는 top 3 : 언제 얼마나 받을까?(조기수령), 보험요율 인상, 두리누리 지원금 (0) | 2025.03.02 |
두리누리 지원금으로 국민연금/고용보험료 줄이기! : 대상, 신청방법 등 모든것 (0) | 2025.03.01 |
국민연금 얼마나 언제부터 받을 수 있는걸까 ? (+조기수령) (0) | 2025.03.01 |
국민연금 13% 인상 보험요율 ? 언제 얼마나? (0) | 2025.03.01 |
직장인 근로장려금 대상자 / 금액 계산해보기!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