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은 지금 이대로 유지될 경우 2057년에 고갈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1990년생 이후부터는 한 푼도 받지 못할수도 있다고도 하기에 미리 내용을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여야는 이러한 시스템 문제에 대해 공감을 하고 국민연금 요율을 9% >> 13%로 인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30년동안 9%였던 보험요율!
국민연금은 1988년에 처음 시행한 후 2번의 인상이 있었으며 1998년에 9%까지 인상된 이후 한번도 오르지 않고 유지가 되고 있었습니다.
✔ 이로 인해서 소득 대체율은 점점 더 낮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소득대체율 : 월평균 소득의 일정 %를 국민연금에서 주겠다는 비율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추이>
2008 | 2016 | 2021 | 2028년 이후 | |
소득대체율 | 50% | 46% | 43.5% | 40% |
✔ 보험요율은 오르지 못하고 있었고,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은 위와 같이 떨어지고 있고 결국 노인 빈곤율은 크게 증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보시다시피 해외국가와 비교해도 낮은 수준으로 연금 소득대체율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 연금 보험료율 인상 / 세대별 차등 인상
✔ 지난 2024년 9월 연금개혁안을 발표했고 여기에는 보험료율 인상과 세대별 차등인상 등의 내용이 담겨져 있습니다.
1. 보험료율 인상 : 9% >> 13%
2. 소득 대체율 : 40% (2028년) >> 42%(2024년~)
✔ 하지만 보험료율이 이렇게 13%로 인상된다면 앞으로 내야 할 날이 많은 젊은 세대들에게는 큰 손해라고 생각이 될수 밖에 없기에 세대별 차등 인상에 대한 내용도 담겨져 있습니다.
<보험료율 인상 속도 차등적용(안)>
구분(25년 기준) | 50대 | 40대 | 30대 | 20대 |
인상 속도 | 1.0% | 0.5% | 0.33% | 0.25% |
잔여 납입기간 | 10년 | 20년 | 30년 | 40년 |
13%까지 인상기간 | 4년 | 8년 | 12년 | 16년 |
이를 통해서 청년의 부담은 낮추고 세대 간의 형평성은 높이려는 개혁안입니다.
✅ 마무리
국민연금은 직장인이라면 내가 싫어도 안낼 수 없는 반드시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오히려 내기 싫다는 마음보다는 향후 내가 얼마나 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 정책들이 어떻게 바뀌는지 등을 미리 파악하고 자산계획 또는 노후계획을 짜보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포스팅 내용을 자세히 읽어보시고 미리 한 번 내야되는 세금을 계산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돈이 되는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국민연금 꼭 미리 챙겨봐야 하는 top 3 : 언제 얼마나 받을까?(조기수령), 보험요율 인상, 두리누리 지원금 (0) | 2025.03.02 |
---|---|
주택연금으로 노후준비 미리하기! : 가입조건(나이,수령액 등), 신청절차, 고려할 점 (0) | 2025.03.02 |
두리누리 지원금으로 국민연금/고용보험료 줄이기! : 대상, 신청방법 등 모든것 (0) | 2025.03.01 |
국민연금 얼마나 언제부터 받을 수 있는걸까 ? (+조기수령) (0) | 2025.03.01 |
직장인 근로장려금 대상자 / 금액 계산해보기! (0) | 2025.02.28 |
통상임금 적용으로 오르는 수당? 상여금, 연차수당, 퇴직금, 육아휴직 급여 (0) | 2025.02.24 |
직장인 놓쳐서는 안되는 TOP4! : 연봉 실수령액/소득세 과세표준/월급 비과세/실업급여! (0) | 2025.02.24 |
월급 비과세 혜택 받아서 실수령 늘리기! : 항목, 비과세 혜택 적극 활용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