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직장인들의 돈이 되는 정보는 다 모았다!
★ 돈이 되는 정보 ★

연봉 실수령액 개념 정확히 알기! : 금액, 세전, 세후 월급 비교!

by 소소동동 2025. 2. 23.

아마도 대부분의 분들은 실제 연봉과 실수령액을 보시면서 차이가 많이 난다고 느끼실 것 같고, 이 차이를 명확히 알고 계산하여 나의 자산관리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금부터 수령액 미리 계산하는 법을 쉽고 간단하게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연봉 실수령액 개념 정확히 알기! : 금액, 세전, 세후 월급 비교!


✅ 목차

연봉 실수령액 개념 정확히 알기! : 금액, 세전, 세후 월급 비교!

✅ 실수령액 개념 정확히 알기!

 

실수령액은 세전 연봉에서 세금과 4대보험을 다 제외하고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돈입니다. 

 

<월급에서 빠지는 돈이 무엇일까?>

공제 항목 본인 부담 비율 비고
국민연금 4.5% 근로자와 사업주 각각 4.5% 부담
건강보험 3.545% 근로자와 사업주 각각 3.545% 부담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95% 건강보험료의 일정 비율로 추가부담
고용보험 0.9% 근로자 0.9%, 사업주는 업종에 따라 0.9~1.9% 부담
소득세 누진세율 적용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6~45%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소득세의 10%를 추가로 납부

 

*소득세는 구간별로 세율이 다르고 월급이 높아질수록 세율도 올라갑니다! 소득세와 관련된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포스팅을 통해서 챙겨보시기 바랍니다!

 

https://info-world-2025.co.kr/62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과 근로소득세율표! : 실수령액 확인하기!

연봉 실수령 계산에서 가장 중요한 소득세에 관한 내용을 쉽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세에 관한 내용을 보시기 전에 실수령액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읽고 오시는 것을 추

info-world-2025.co.kr

 

 

* 고용보험은 실업을 하게 될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으니 포스팅을 읽어보시고 꼭 챙겨보시기 바랍니다!

 

https://info-world-2025.co.kr/60

 

실업급여 파헤치기! : 신청방법,조건,수령금액 체크!

실업급여 지급 규모는 굉장히 크고, 신청자도 53만명을 넘을 만큼 많은 분들이꼭  혜택을 받고 있으니 혹시나 현재 해당이 되신다면 꼭 지원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2025년부터 변화된

info-world-2025.co.kr

 

✅ 실수령액 정확하게 계산해 보기

 

쉽게 계산을 해보시기 위해 네이버에 '연봉계산기'를 치시면 바로 확인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본인 월급, 부양가족 수, 비과세를 입력하시면 바로 확인이 가능하십니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0&ie=utf8&query=%EC%97%B0%EB%B4%89%EA%B3%84%EC%82%B0%EA%B8%B0

 

연봉계산기 : 네이버 검색

'연봉계산기'의 네이버 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아래의 표를 통해 개략적인 실수령액은 확인이 가능합니다. 

 

연봉 실수령액 개념 정확히 알기! : 금액, 세전, 세후 월급 비교!

✅ 실수령액 높이는 방법?

 

실수령액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비과세 수당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입니다. 

 

- 식대 (월 20만원까지), 교통비(월 10만원까지), 육아수당, 자기계발비 등이 있으니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자세한 내용을 담은 포스팅을 한번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https://info-world-2025.co.kr/63

 

월급 비과세 혜택 받아서 실수령 늘리기! : 항목, 비과세 혜택 적극 활용

근로소득에서 세금을 줄이는 가장 쉬운 방법이 비과세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인만큼 항목이 무엇인지, 어떤기준으로 적용되는지 반드시 챙겨보셔야 합니다!   지금부터 실수령액을 늘릴

info-world-2025.co.kr

 

 

추가적으로 연말정산 공제항목을 잘 챙기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신용카드 실적, 의료지, 교육비, 주택청약 등)

 

마지막으로 절세상품을 활용하는 방법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퇴직연금 IRP, 연금저축보험, 주택청약종합저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