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정부의 정책이나 다양한 지원제도를 읽다보면 항상 일정한 소득 기준을 바탕으로 적용이 되고, 가장 기준이 되는 것이 중위소득이기 때문에 정확히 알고 계셔야만 합니다!
2025년 기준으로 수치가 크게 오르면서 수혜범위가 확대되었기 때문에 그 내용을 한번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기준중위소득이란?
2. 2025년 구간별 기준중위소득 계산해보기! (50%,100%,120%)
3. 2025년 복지급여별 소득기준
4. 소득인정액과 중위소득 비율
5. 나에게 해당되는 복지혜택 확인해보기!
▌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전체가구를 소득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으로 평균값과 다르게 고소득자의 영향을 받지 않아 지표로 활용됩니다.
이 수치는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하며, 통계청의 자료를 바탕으로 산출이 됩니다.
★ 2025년에는 전년대비 6.42% 인상이 되었으며, 인상률은 생활물가와 가계부담이 반영됩니다.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 100% |
1인 가구 | 2,392,013원 |
2인 가구 | 3,932,658원 |
3인 가구 | 5,025,353원 |
4인 가구 | 6,097,773원 |
5인 가구 | 7,108,192원 |
위의 표는 기준 중위소득 100% 기준으로 각 가구의 소득 상한선입니다.
▌ 2025년 구간별 기준중위소득 계산해보기!
정부의 지원들은 단순 소득 총액보다는 기준 중위소득 대비 몇%인지를 기준으로 적용이 대부분 되기에, 본인의 가구소득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본인의 가구소득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인가구 예시]
비율 | 계산식 | 금액 |
50% | 2,392,013원 x 0.5 | 1,196,007원 |
60% | 2,392,013원 x 0.6 | 1,435,208원 |
120% | 2,392,013원 x 1.2 | 2,870,416원 |
150% | 2,392,013원 x 1.5 | 3,588,020원 |
위의 표처럼 기준 중위소득에서 비율을 곱하여 금액을 확인해보실 수 있고, 각각의 지원제도 기준에 맞춰 계산을 해보시고 해당이 되시는지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구간별 계산을 완료해보셨다면, 복지급여의 수급조건과도 직결이 됩니다.
▌ 2025년 복지 급여별 소득기준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의 상승에 따라 주요 복지급여의 지원 기준도 함께 상향조정이 되었으며, 각 복지제도는 기준 중위소득 일정비율 이하인 가구에게 제공됩니다.
급여 종류 | 적용기준(%) | 4인 가구 기준 소득 |
생계급여 | 32% | 약 1,951,287원 |
의료급여 | 40% | 약 2,439,109원 |
주거급여 | 48% | 약 2,926,930원 |
교육급여 | 50% | 약 3,048,886원 |
★ 위 기준을 충족하신다면 다양한 형태로 정부 지원을 받으실 수 있으니 이 외에도 월세지원, 에너지바우처 등의 혜택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또한 청년의 기준나이를 충족하시고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인 경우에는 청년관련 금융 상품 등을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https://info-world-2025.co.kr/52
2025 청년 부동산 주요 지원정책 ! : 청년희망드림주택/청년주택드림대출/중개비 및 이사비 지원
2025년에도 청년들을 위한 부동산 지원 정책은 꾸준히 시행이 되고 있고, 내집마련을 위한 혜택들을 절대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앞의 포스팅에서 하나씩 자세히 다루었던 내용들을 간단하
info-world-2025.co.kr
▌ 소득인정액과 중위소득 비율
★ 소득인정액은 단순히 급여뿐이 아닌 근로소득, 사업소득, 부동산, 자동차 등 모든 자산의 소득환산액을 포함한 개념이며 이수치를 바탕으로 본인의 중위소득 비율 파악이 가능합니다 .
★ 중위소득 기준 대비 비율 : 소득인정액 / 기준중위소득 x 100
1.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차상위 계층 혜택
2. 100% 이하 : 청년 월세 지원 등
3. 150% 이하 : 각종 금융상품 혜택 등
▌ 나에게 해당되는 복지혜택 확인해보기!!
나의 소득이 어떤 구간에 속하는지 파악했다면,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지원제도를 확인해봐야겠죠??
★ 가장 손쉬운 방법은 복지로 사이트의 모의계산 도구를 활용해 보는 것입니다.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www.bokjiro.go.kr
★ 이곳에 가구원수, 소득인정액, 재산정보 등을 입력하면 현재 받을 수 있는 지원항목이 자동으로 정리되어 나오기 때문에 꼭 한번 체크하셔서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한 예로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의 청년은 청년도약계좌,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등에 참여 가능하며, 50% 이하인 가구에는 기초생활수급자로 등록이 가능하여 다양한 혜택지원이 가능합니다.
https://info-world-2025.co.kr/59
청년도약계좌의 모든 것! : 혜택, 가입조건, 체크리스트, 신청기간
2025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 기여금이 확대되면서 추가적인 혜택들이 있으니 놓치지 말고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부터 달라진 점, 신청기간, 가입조건 등을 최대한 쉽게 포스팅
info-world-2025.co.kr
나의 소득구간을 정확히 파악해 보고, 개선되는 제도에 맞춰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
'★ 돈이 되는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기부등본 열람 및 확인, 출력까지 꼭 미리 체크하세요. (0) | 2025.04.04 |
---|---|
2025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5월 놓치지마세요! feat. 세율, 신고대상, 가산세 (0) | 2025.04.01 |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 1유형 / 2유형 조건 / 지원내용 / 신청방법 등 (0) | 2025.03.31 |
2025 다자녀 혜택 기준 필독 하세요 ! : 생활비부터 교육비,교통비,주거 지원까지! (0) | 2025.03.30 |
2025 보금자리론 가능하다면 무조건! : 신청조건, 세부기준, 소득요건 등 (0) | 2025.03.30 |
근로 자녀 장려금 놓치지 않고 신청하기! : 기간, 조건, 금액, 대상 등! (0) | 2025.03.29 |
부모 자식 차용증의 모든 것! : 무이자 한도, 작성방법, 이자소득세 (0) | 2025.03.26 |
인지세 금액과 구매방법! 온라인 납부에서 우체국 납부까지 모든 것!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