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직장인들의 돈이 되는 정보는 다 모았다!
★ 돈이 되는 정보 ★

2025년 기준중위소득 계산 제대로 알자! feat. 50% / 100% / 120% / 150%

by 소소동동 2025. 3. 30.

 

 

각종 정부의 정책이나 다양한 지원제도를 읽다보면 항상 일정한 소득 기준을 바탕으로 적용이 되고, 가장 기준이 되는 것이 중위소득이기 때문에 정확히 알고 계셔야만 합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 계산 제대로 알자! feat. 50% / 100% / 120% / 150%

 

 

2025년 기준으로 수치가 크게 오르면서 수혜범위가 확대되었기 때문에 그 내용을 한번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기준중위소득이란?
2. 2025년 구간별 기준중위소득 계산해보기! (50%,100%,120%)
3. 2025년 복지급여별 소득기준
4. 소득인정액과 중위소득 비율
5. 나에게 해당되는 복지혜택 확인해보기!

 

▌ 기준중위소득이란?

 

2025년 기준중위소득 계산 제대로 알자! feat. 50% / 100% / 120% / 150%

 

기준 중위소득은 전체가구를 소득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으로 평균값과 다르게 고소득자의 영향을 받지 않아 지표로 활용됩니다. 

 

이 수치는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하며, 통계청의 자료를 바탕으로 산출이 됩니다. 

 

★ 2025년에는 전년대비 6.42% 인상이 되었으며, 인상률은 생활물가와 가계부담이 반영됩니다. 

 

 

가구원 수  기준중위소득 100%
1인 가구 2,392,013원
2인 가구 3,932,658원
3인 가구 5,025,353원
4인 가구 6,097,773원
5인 가구 7,108,192원

 

위의 표는 기준 중위소득 100% 기준으로 각 가구의 소득 상한선입니다. 

 

▌ 2025년 구간별 기준중위소득 계산해보기!

 

정부의 지원들은 단순 소득 총액보다는 기준 중위소득 대비 몇%인지를 기준으로 적용이 대부분 되기에, 본인의 가구소득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본인의 가구소득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인가구 예시]

비율 계산식 금액
50% 2,392,013원 x 0.5 1,196,007원
60% 2,392,013원 x 0.6 1,435,208원
120% 2,392,013원 x 1.2 2,870,416원
150% 2,392,013원 x 1.5 3,588,020원

 

위의 표처럼 기준 중위소득에서 비율을 곱하여 금액을 확인해보실 수 있고, 각각의 지원제도 기준에 맞춰 계산을 해보시고 해당이 되시는지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구간별 계산을 완료해보셨다면, 복지급여의 수급조건과도 직결이 됩니다. 

 

▌ 2025년 복지 급여별 소득기준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의 상승에 따라 주요 복지급여의 지원 기준도 함께 상향조정이 되었으며, 각 복지제도는 기준 중위소득 일정비율 이하인 가구에게 제공됩니다. 

 

 

급여 종류 적용기준(%) 4인 가구 기준 소득
생계급여 32% 약 1,951,287원
의료급여 40% 약 2,439,109원
주거급여 48% 약 2,926,930원
교육급여 50% 약 3,048,886원

 

★ 위 기준을 충족하신다면 다양한 형태로 정부 지원을 받으실 수 있으니 이 외에도 월세지원, 에너지바우처 등의 혜택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또한 청년의 기준나이를 충족하시고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인 경우에는 청년관련 금융 상품 등을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https://info-world-2025.co.kr/52

 

2025 청년 부동산 주요 지원정책 ! : 청년희망드림주택/청년주택드림대출/중개비 및 이사비 지원

2025년에도 청년들을 위한 부동산 지원 정책은 꾸준히 시행이 되고 있고, 내집마련을 위한 혜택들을 절대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앞의 포스팅에서 하나씩 자세히 다루었던 내용들을 간단하

info-world-2025.co.kr

 

▌ 소득인정액과 중위소득 비율

 

★ 소득인정액은 단순히 급여뿐이 아닌 근로소득, 사업소득, 부동산, 자동차 등 모든 자산의 소득환산액을 포함한 개념이며 이수치를 바탕으로 본인의 중위소득 비율 파악이 가능합니다 .

 

★ 중위소득 기준 대비 비율 : 소득인정액 / 기준중위소득 x 100

 

1.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차상위 계층 혜택

 

2. 100% 이하 : 청년 월세 지원 등

 

3. 150% 이하 : 각종 금융상품 혜택 등

 

▌ 나에게 해당되는 복지혜택 확인해보기!!

 

나의 소득이 어떤 구간에 속하는지 파악했다면,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지원제도를 확인해봐야겠죠??

 

★ 가장 손쉬운 방법은 복지로 사이트의 모의계산 도구를 활용해 보는 것입니다.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www.bokjiro.go.kr

 

2025년 기준중위소득 계산 제대로 알자! feat. 50% / 100% / 120% / 150%

 

 

 

★ 이곳에 가구원수, 소득인정액, 재산정보 등을 입력하면 현재 받을 수 있는 지원항목이 자동으로 정리되어 나오기 때문에 꼭 한번 체크하셔서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한 예로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의 청년은 청년도약계좌,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등에 참여 가능하며, 50% 이하인 가구에는 기초생활수급자로 등록이 가능하여 다양한 혜택지원이 가능합니다. 

 

https://info-world-2025.co.kr/59

 

청년도약계좌의 모든 것! : 혜택, 가입조건, 체크리스트, 신청기간

2025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 기여금이 확대되면서 추가적인 혜택들이 있으니 놓치지 말고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부터 달라진 점, 신청기간, 가입조건 등을 최대한 쉽게 포스팅

info-world-2025.co.kr

 

 

나의 소득구간을 정확히 파악해 보고, 개선되는 제도에 맞춰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