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직장인들의 돈이 되는 정보는 다 모았다!
★ 돈이 되는 정보 ★

계약직 퇴직금 계산은 어떻게 할까?? : 수령조건, 금액, 계산방식 등등

by 소소동동 2025. 3. 10.

계약직 퇴직금 계산은 어떻게 할까?? : 수령조건, 금액, 계산방식 등등

 

계약직 근로자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 지급 대상이 되는지, 어떻게 산정되는 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또한 무기계약직의 경우에 정규직과 동일한 권리를 가질 수 있는지도 같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계약직 퇴직금 수령을 위한 기본조건!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퇴직금을 받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조건들을 충족해야 하며 아래의 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준 내용
근속 기간 1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주당 근로시간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시간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지급 시기 퇴사 후 14일 이내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

 

위의 조건을 만족한다면 근로계약서 체결이 되어있지 않거나 4대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더라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년 계약직의 퇴직금 수령 조건은?

 

계약직 퇴직금 계산은 어떻게 할까?? : 수령조건, 금액, 계산방식 등등

 

1년 계약직 근무자 분이 퇴직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계약 기간은 정확히 1년 이상이어야 하며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퇴직금 계산방식 : 1일 평균 임금 x 30일 x (총 재직일수 / 365) 

 

예를들어 1년동안 주 5일, 하루 8시간을 근무하면서 평균 임금이 15만원이라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

 

15만원 x 30일 x (365일 / 365일) = 450만원 의 퇴직금 계산이 나옵니다.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내용은 1년을 정확하게 채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이후까지 근무를 했다면 지급대상이 되지만 12월 30일까지 근무를 할 경우에는 퇴직금을 못받을 수 있습니다. 

 


▌ 무기계약직 퇴직금 지급 방식

 

무기계약직 퇴직금은 정규직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급되며, 무기계약직은 일정한 기간이 정해지지는 않은 근로계약이지만 퇴직 시 퇴직금을 받을 권리는 보장이 됩니다. 

 

✅ 수령 조건은 1년계약직 조건과 동일하며 퇴직금 계산방법도 동일합니다. 

 

✅ 또한 계약이 반복 갱신되었다면 계속 근무로 인정될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퇴직금 지급 기한과 지연이자

 

계약직의 경우라도 정규직과 동일하게 퇴직금은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이 되어야 하며 만약 합의없이 지급이 지연될 경우 연 20%의 이자가 부과되어야 합니다. 

 

이자의 경우 미지급금액의 20%가 이자로 붙는 것으로 계속 미뤄질 경우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제기하여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

 

✅ 퇴직금 미지급과 관련하여 좀 더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https://info-world-2025.co.kr/84

 

퇴직금이 혹시 안 들어왔다면? 미지급 신고방법 및 신고기간 알아두기!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상 일한 후 퇴사할 때 지급되는 보상으로 당연히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1년 이상 근무하고 주당 15시간 이상 일한 경우 퇴직금 지급 대상

info-world-2025.co.kr

 

계약기간을 정확히 확인하고, 계약직 퇴직금 계산을 올바르게 이해한 후
정당한 금액을 지급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