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개인인감증명서 한번씩은 떼어보셨겠지만 이제는 인터넷 발급도 가능하여 주말에도 어렵지 않게 발급이 가능합니다.
다만 쓰이는 용도에 따라 반드시 체크해 보셔야 할 내용이 있으니 포스팅을 꼭 끝까지 챙겨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인감증명서 정확히 알기!
인감증명서는 나의 도장과 함께 쓰이는 중요한 증명서로 이 서류 하나면 부동산 매매도, 회사를 설립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만큼 매우 중요한 문서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 도장이 나의 도장이 맞다는 것을 국가에서 증명해 주는 문서라고 생각하시면 되기때문에, 그만큼 분실도 조심해야 하는 서류입니다!
▌ 개인 인감증명서 발급 방법 (feat. 주말에도 발급받기)
방법은 크게 3가지의 방법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 주민센터 방문 발급 (주말불가!)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주민센터(타지역 가능)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서 신분증을 보여준 후 발급받을 용도와 제출처만 이야기 하시면 바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 준비물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 비용 : 600원 (카드결제도 가능합니다!)
* 대리인 발급 시 : 본인 신분증,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 서류
✅ 정부 24 인터넷 발급 (주말발급 가능!)
이제는 정부 24 사이트에서도 온라인으로 개인인감증명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주말에도 편하게 발급이 가능하십니다.
https://www.gov.kr/portal/main/nologin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 정부혜택(보조금24), 정책정보/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조회·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
www.gov.kr
정부 24에 로그인한 뒤 '인감증명서 발급 신청'을 클릭하시면 바로 가능하십니다.
✅무인민원발급기 (주말발급 가능!)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고객센터 >> 무인민원 발급안내 메뉴로 들어가시면 설치장소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지하철역 또는 구청 입구에 설치된 경우 주말에도 이용가능합니다.
▌ 반드시 체크해봐야 할 사항!
✅인감증명서 유효기간은 발급받은 날로부터 3개월이라는 점을 꼭 기억하시고, 필요한 타이밍에 맞추어서 발급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인터넷 발급 개인인감증명서 용도제한!
정부 24를 통해서 발급받은 인감증명서의 경우에는 회사 제출, 보험회사 제출, 학교제출 등의 일반적인 용도로만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서 부동산 계약, 은행 대출, 법원 제출, 회사 설립 등의 공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력이 없으며, 이 경우에는 반드시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서 발급을 받으셔야 합니다.
✅주민센터 방문 시간
주민센터를 방문하시는 경우에 점심시간(12-1시), 또는 퇴근 직전의 시간은 사람이 너무 많이 몰리기 때문에 피해서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인감증명서 분실사고 주의!
앞에서 말했듯이 인감증명서 한장으로 엄청나게 중요한 일들을 많이 할수 있고, 그만큼 악용될 위험도 굉장히 높으니 반드시 잘 챙겨두고 철저히 보관하셔야 합니다.
발급 받으신 후 원본은 꼭 안전한 곳에 보관해 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인감증명서는 어디에 쓰실 목적인지 명확히 파악하시고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정부24) 발급을 결정하셔야 하며,
발급받으신 후에는 철저하게 보관을 해 두셔야 합니다.
'★ 돈이 되는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조기수령 체크리스트! : 신청조건, 시기, 감액, 선택기준 등 (0) | 2025.03.09 |
---|---|
세대주 변경 어렵지 않아요! : 세대주 조건, 변경 방법 총 정리 해드립니다. (0) | 2025.03.09 |
교육급여 바우처 놓치지 마세요! : 대상, 사용처, 신청방법 등등 알아보기 (0) | 2025.03.08 |
직장인이라면 미리 챙겨 봐야할 TOP 4! 시즌2 : 통상임금 적용! / 퇴직금 계산! / 근로장려금 / 임금피크제 (0) | 2025.03.08 |
자녀 무상 증여한도는 얼마나 될까 ? : 증여세 과세표준, 특례혜택(feat.결혼자녀), 미성년자 등! (0) | 2025.03.06 |
국민연금 실업크레딧 챙기세요! : 대상, 보험료 계산, 납부/신청방법 등 (0) | 2025.03.03 |
임금피크제 뜻, 퇴직금 영향, 장단점, 폐지가능성? 알아보기! (0) | 2025.03.03 |
2025 국민연금 꼭 미리 챙겨봐야 하는 top 3 : 언제 얼마나 받을까?(조기수령), 보험요율 인상, 두리누리 지원금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