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생활비 걱정을 덜 수 있는 방법 중 최근 대두되고 있는 것은 아파트 주택연금이며 이 제도는 보유한 아파트를 담보로 맡기고, 거주를 유지한 채 일정금액을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즉, 부동산 자산을 유지하면서도 매달 돈을 받는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아파트 주택연금 기본요건
아파트 주택연금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우선 아래의 표를 확인해 보시기 바라며, 기본적으로 12억원 이하의 아파트를 소유하고 실거주 중인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한 부부 중 한 명만 요건을 충족해도 가능하며, 다주택자의 경우 일정 조건 하에 예외 적용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항목 | 상세내용 |
나이 요건 | 부부 중 1명 이상이 만 55세 이상 |
주택 기준 | 공시가격 12억 원 이하 아파트 |
거주 조건 | 실제 거주 중인 자택일 것 |
주택 수 제한 | 원칙적으로 1주택자, 2주택자는 3년 내 1채 처분 시 가능 |
▌ 아파트 주택연금의 장단점 체크
조건을 충족한다면 주택연금의 장단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본인에게 맞는 방법인지를 따져 보아야 합니다.
구분 | 장점 | 단점 |
수익성 | 평생 고정 금액 지급 | 집값 상승분 반영 불가 |
안정성 | 배우자 승계, 지급 중단 위험 낮음 | 장기 거주 중단 시 지급 정지 가능 |
세금 혜택 | 재산세 감면, 소득세 비과세 | 초기 연간 보증료 발생 |
위와 같이 평생 고정되고 안정적인 금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은퇴 후에도 일정한 현금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가장 큰 단점은 집값 상승이 있다고 하더라도 수령액은 고정이기에 자산 상승의 수익을 반영받지 못한다는 점, 보증료와 이자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 시세별 수령액은 ? 1억, 4억, 7억, 9억 아파트일때
주택연금은 집값과 나이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며, 아래의 기준은 70세 기준 정액형으로 신청 했을 때의 월 수령 예시이오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파트 시세 | 월 수령액(70세 기준) |
1억 | 약 30만원 |
4억 | 약 120만원 |
7억 | 약 210만원 |
9억 | 약 270만원 |
1억 수준의 아파트도 연금으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려를 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예상연금 조회도 가능하오니 미리 한번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한국금융공사 홈페이지 접속하신 후 상단의 주택연금 항목을 클릭하신 후 예상연금조회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https://www.hf.go.kr/ko/index.do
한국주택금융공사
특례보금자리론, 유동화증권, 전세자금보증, 건설자금보증, 주택연금 업무.
www.hf.go.kr
▌ 신청 절차, 필요서류
신청절차는 크게 4가지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가장 간편한 방법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인터넷으로 신청하시는 것입니다.
1. HF 한국주택금융공사 상담 (방문/전화/인터넷 신청)
2. 서류제출 및 주택 평가
3. 보증서 발급 후 계약
4. 연금 수령 개시
이후 주택 감정평가가 이루어 지며, 보증서 발급 후 금융기관과 계약을 체결하게 되면 그 다음부터 매달 지급이 시작이 됩니다.
전체 절차는 평균 3주 내외로 완료되며, 고령자의 경우라면 출장상담 서비스도 이용이 가능하십니다.
★ 필수 서류 : 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증기부 등본 등이 있으며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 시기에 따라 다른 수령액
같은 아파트여도 신청 시점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니 타이밍을 잘 보셔야 합니다.
만약 국민연금 수령시기와 겹친다면 두가지의 연금 시점을 잘 고려하셔서 소득을 분산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신천 연령 | 7억 기준 월 지급액 |
60세 | 약 175만원 |
65세 | 약 195만원 |
70세 | 약 210만원 |
'★ 돈이 되는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연봉별 실수령액표 확인하세요~! feat. 최저시급, 최저월급, 최저연봉 (0) | 2025.04.12 |
---|---|
2025 부동산 양도세, 양도세율, 면제조건 ! feat. 일시적 1가구 2주택 (0) | 2025.04.12 |
공매도란 무엇일까? 내 주식은 대체 왜 흔들리는 걸까?? (0) | 2025.04.12 |
2025 주담대 금리인하 요구권 대상 및 횟수 요약정리 (0) | 2025.04.11 |
2025 기초노령연금 수급 자격과 금액계산, 신청방법 모두 알아가세요! (0) | 2025.04.09 |
자진퇴사 후 실업급여 지급받을 수 있을까? feat. 예외사항, 반복수급자 제한 (0) | 2025.04.06 |
2025 부동산 중개수수료율 체크하세요! feat. 전세, 중개수수료 협의 (0) | 2025.04.06 |
꼭 알아야 하는 전세계약 전,후 체크리스트 한눈에 알아보기! (0) | 2025.04.06 |